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사이버보안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분야의 국내 자동차관리법, 유럽 UNECE R155 & R156, 중국 GB 44495-2024를 비롯해,
농기계 · 건설기계 등 특수 분야에도 유럽 사이버복원력법(CRA, Cyber Resilience Act)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은 인증을 획득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인증은 출발선일 뿐, 본 게임은 ‘지속적인 운영 관리’에 있습니다.
페스카로의 ‘CSMS 포털’은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실무자 리소스를 1/10 로 줄일 수 있는 자동화 플랫폼입니다.
* 프로젝트 환경에 따라 업무 리소스 절감 효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차량 개발 단계부터 출시 이후 운영 단계까지,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 업무 효율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 업무 효율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
방대하고 반복적인 사이버보안 업무에 너무 많은 리소스가 소모돼요.
-
변경사항이 생길 때마다 수작업으로 수많은 문서를 관리하기 어려워요.
-
연관된 업무들 간의 관계나 변경 이력을 확인하기 어려워요.
-
시스템과 실제 업무가 제대로 연동되지 않아 일을 여러 번 해요.
차량 사이버보안, 규제는 복잡해도 대응은 단순하게!
페스카로와 함께 생애 주기 전반에 걸친 사이버보안 운영 관리 업무를 자동화하세요.
리소스를 1/10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
페스카로와 함께 생애 주기 전반에 걸친 사이버보안 운영 관리 업무를 자동화하세요.
리소스를 1/10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환경에 따라 업무 리소스 절감 효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
- 라이프사이클 전 단계
사이버보안 업무자동화 관리시스템 -
- 차량·부품 수준별 TARA 업무 관리
- 사이버보안 기술 사양서 (설계·검증) 관리
- 산출물 관리 (UN R155, CRA, ISO/SAE 21434 등)
- 사이버보안 공급망 관리
- 라이프사이클 전 단계
-
- 개발 단계
차량보안인증 관리시스템 -
- 프로젝트 관리 및 프로젝트별 하위 아이템 관리
- 부품 공급사들을 위한 보안 모듈 및 펌웨어 전자서명 관리
- 필드에서 유효한 펌웨어만 업데이트 하기 위한 암호 키 생성 및 관리
- 차량 진단용 인증서 발급·배포 관리
- 개발 단계
-
- 생산/출시 단계
차량SW업데이트 관리시스템 -
- 소프트웨어 버전과 이력, 업데이트 현황 관리
- 소프트웨어 변경에 의한 영향도 분석 및 평가 관리
- RXSWIN(Regulation X Software Identification Number) 관리
- SW 업데이트를 위한 패키지 관리
- 생산/출시 단계
-
- 필드 운영 단계
차량보안위협 관리시스템 -
- 차량별 보안이벤트 발생 이력 관리
- 보안이벤트 실시간 모니터링
- 보안취약점 관리 및 보안 조치 수행
- 보안이벤트 탐지 규칙 무선 업데이트
- 필드 운영 단계
데브섹옵스(DevSecOps)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이버보안 품질을 고도화하세요.
지속적으로 사이버보안 품질을 고도화하세요.

OEM 생산 라인 · 정비소 · 차량 등 모빌리티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기능 개선으로 이어지는 순환형 운영체계를 구축하세요.
기능 개선으로 이어지는 순환형 운영체계를 구축하세요.

유기적으로 연결된 IT 기반 운영 관리 시스템으로
업무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세요.
업무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세요.
제어기 개발사(Tier)를 위한 키관리시스템은
확장성 있는 구조로 다양한 OEM의 요구사항 대응을 지원합니다.
확장성 있는 구조로 다양한 OEM의 요구사항 대응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