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자동차 사이버보안 규제 본격 시행… 신규 차종은 오는 8월부터, 기등록 양산차는 2027년 8월부터 의무화
- 국제 규제 대응 성공사례에 국내 규제 평가시스템까지 구축한 '기술력'으로 승부
페스카로(FESCARO)가 국내 상용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KGM커머셜, 우진산전의 사이버보안 프로젝트 파트너로 선정되어, 최근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12일 밝혔다.
국내에서 차량을 판매하려면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이하 자관법)의 사이버보안 규제를 준수해야 하며, 자동차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을 반드시 획득해야 한다. 자관법은 오는 8월부터 신규 등록 차종에 적용되며, 2027년 8월부터는 기존 등록 차종(양산차)까지 범위가 확대된다. 자관법은 유럽 자동차 사이버보안 규제를 기반으로 제정된 만큼, 자동차 제작사·수입사는 국제 규제 대응 경험이 있는 파트너와 협력해야 국내 인증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페스카로는 2023년, 고객사가 국제 4대 인증(CSMS, SUMS, VTA, ISO/SAE 21434)을 획득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며 국내 최초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고객사가 실제 인증을 획득하고 성공적으로 차량이 양산되도록 지원한 성공사례를 통해, 국내 자관법에 대한 정확한 해석 및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다만, 자관법은 국내 산업 환경에 대한 특수성을 반영해 국제 규제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평가 기준과 절차를 요구한다. 페스카로는 정부 산하 자동차 연구기관과 함께 자관법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 평가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한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자동차 제작사의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관련 현황을 점검해 인증 적합 여부를 판정하는 핵심 평가 체계로 활용되고 있다. 페스카로는 규제를 해석하는 수준을 넘어, 규제의 기준을 만드는 경험까지 보유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출처: 서울경제 (페스카로, KGM커머셜·우진산전 사이버보안 프로젝트 착수… 상용차 시장 본격 확장)>
-
PREV 자동차 보안 의무화 시행, 국내 수혜 기대 기업은?
-
NEXT 다음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