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승우 페스카로 사업개발팀장이 ‘오토아이삭 사이버보안 서밋 2025’에서
차량 통합보안을 위한 디지털전환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 = 페스카로)
페스카로(FESCARO)는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오토아이삭 사이버보안 서밋 2025 (Auto-ISAC Cybersecurity Summit 2025)’에서 차량 통합보안을 위한 디지털전환 전략을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오토아이삭은 글로벌 자동차 사이버보안 협의체로, 산업 전반의 위협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오토아이삭 사이버보안 서밋’은 글로벌 업계 리더들이 모여 자동차 산업의 미래 사이버보안 전략과 협력 방향을 논의하는 국제 콘퍼런스다. 올해 서밋에는 포드(Ford), 제너럴 모터스(GM), 스텔란티스(Stellantis) 토요타(Toyota), BMW, 보쉬(Bosch), 덴소(DENSO) 등 글로벌 완성차 제작사 및 제어기 개발사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사이버보안·인프라보안국(CISA), 연방수사국(FBI) 등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해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페스카로는 '자동차 생태계 전반의 사이버복원력을 높이는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현재 자동차 보안은 거대한 밸류체인과 평균 15년에 이르는 차량 생애주기로 인해 데이터가 파편화되고 관리가 복잡해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페스카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절된 관리 시스템의 통합 및 업무 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영향 추적 등 실무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자동화 사례도 함께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최근 출시한 사이버보안 운영관리 솔루션 ‘CSMS 포털’을 선보였고, 기존 솔루션의 한계를 넘어 엔드투엔드 자동화를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류승우 페스카로 글로벌사업개발팀장은 “자동차 산업은 엄청나게 거대한 유기체”라며, “자동차 사이버보안의 핵심은 이 복잡한 공급망 전체에 걸친 협업 효율화와 사이버복원력(Cyber Resilience) 구축”이라고 말했다. 또한, “CSMS 포털은 이를 실현하는 가장 쉽고 빠른 실질적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파이낸셜뉴스 (페스카로, 美 Auto-ISAC 서밋서 디지털 전환 전략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