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RECRUITMENT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파트너

SCROLL DOWN
채용프로세스
  • STEP 01

    서류전형

  • STEP 02

    1차 직무 인터뷰

  • STEP 03

    2차 종합면접

  • STEP 04

    Offer Letter

  • 서류전형

    제출하신 입사지원서와 경력기술서를 바탕으로 채용 포지션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 역량을 체크합니다.

  • 1차 직무인터뷰

    전공분야의 기초지식과 SW Engineer로서의 마인드 및 문제해결 방식을 평가합니다

  • 2차 종합면접

    지원자분의 ▲사고력, ▲업무 문제해결능력, ▲직무관련 기초지식, ▲가치관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자리입니다.
    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업무 수행에 있어 문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어떻게 문제를 인식하고 적절히 해결하는지를 평가합니다.

  • 유의사항

    내부 사정에 따라 전형 절차, 일정 등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지원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합격 및 입사가 취소 될 수 있습니다.

지원 자격
  • 공통역량

    자동차 전장SW/자동차보안에 관심이 있고, 한가지 주제를 끈기 있게 고민하여 깊이 있는 지식탐구를 좋아하는 분

  • 세부역량

    채용부분별 채용공고 확인

제출 서류
  • 신입전형

    채용사이트 양식의 입사지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성적증명서(수강과목 확인용)
    *페스카로 자사양식의 입사지원서 제출시 우대

  • 경력전형

    이력서, 경력기술서/포트폴리오, 성적증명서(5년 미만 경력자에 한함)
    *페스카로 자사양식의 입사지원서 제출시 우대

채용 문의

recruit@fescaro.com

진행 중인 채용
No. 모집부분 작성자 등록일
공지 [조직문화] 페스카로 복지제도 모음ZIP (2024 ver.) 관리자 2024-08-30
페스카로는 구성원의 성장과 복지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페스카로의 최고 자산은 구성원인 만큼 직원의 DAY / LIFE / SPECIAL DAY까지 모두 책임지고 케어합니다. 페스카로 입사 지원자들은 채용공고에 기재된 다양한 복지제도에 대해, "정말 이 많은 복지를 모두 지원해 주나요?"라고 질문하곤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페스카로의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PART1 : 직원의 DAY를 케어합니다 ⦁ 행복한 점심시간 연간 240만 원, 법인카드로 마음껏 긁자! 페스카로는 모두에게 개인형 법인카드를 지원하여​ 동료들과 회사 근처 맛집 도장 깨기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주변에 호수공원이 위치해 있어 날씨 좋은 날이면 김밥을 싸들고 피크닉도 할 수 있어요. 출처 = 페스카로 ⦁ 조식 운영 “조식 먹기 위해 일찍 출근해요” 인기 만점 페스카로 조식. 든든하게 드실 수 있는 주먹밥, 핫도그, 햄버거와 간편하게 드실 수 있는 시리얼, 베이커리, 계란 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맛의 우유, 두유, 과일 주스, 요거트 등 신선 제품 또한 상시 구비되어 있기에, 아침 거르지 말고 든든한 한 끼 식사 후 업무를 시작해 보아요! 출처 = 페스카로 ⦁ 스낵바 운영 관리본부가 직접 진행하는 큐레이팅 서비스, 스낵바. 업무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실시간으로 당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거나,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울리는 경험.. 한 번쯤은 있으시죠?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스테디셀러와 처음 보는 신상 과자들까지, 모두가 만족할 만한 스낵바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쿠키, 스낵, 캔디, 차, 커피 등 '열심히 일하는 당신'을 위한 다양한 간식들이 준비되어 있어요. 출처 = 페스카로 ⦁ 교통비 지원 점점 비싸지는 대중교통 이용 요금, 부담된 적 있으신가요? 직원들의 교통비 걱정을 줄이기 위해 페스카로는 연간 교통비 120만 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차로 출퇴근하시는 분들은 주차비로 이용하세요. ​ ⦁ 통신비 지원 업무하면서 고객사와 연락하다 보니, 쌓여가는 통화와 문자 내역들... 한 달 동안 쌓이면 만만치 않은 양이 되죠. 통화 & 데이터 요금 걱정을 덜어드리기 위해 통신비를 연간 60만 원 지원해 드립니다. PART 2 : 직원의 LIFE를 케어합니다 ⦁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제도 페스카로는 시차출퇴근제, 반반차, 외출 제도 등을 통해 주도적으로 업무 시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조성합니다. 시간에 끌려다니지 말고 셀프리더십을 발휘해 업무 스케줄을 주도합시다! ⦁ 페스카로와의 의리! 장기근속자 포상제도 직원들의 장기 재직과 자산 형성을 응원합니다. 5년 재직 시 회사로부터 총 1,440만 원 포상금을 받을 수 있는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운영합니다 (매월 24만 원, 60개월간 총 1,440만 원). 우리 오래오래 함께 해요. ⦁ 건강검진 지원 업무에 대한 열정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입니다. 페스카로는 임직원 건강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케어하기 위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와 유급 건강검진 반차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직원의 건강을 위해 검진에 드는 비용, 시간을 모두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어요. ⦁ 소노호텔앤리조트 콘도 회원권 페스카로를 위해 열심히 일한 당신, 삶은 쉼표도 필요하죠! 페스카로는 임직원의 휴식 관련 복지제도를 확장하기 위해 2024년 여름부터 소노호텔앤리조트 (구 대명리조트) 콘도 회원권을 준비했습니다. 희망하는 임직원은 해당 리조트와 호텔을 회원가에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소노호텔앤리조트 ​ ⦁ 가족에게 자랑스러운 페스카로 임직원의 가족까지 살뜰하게 챙겨요! 자녀가 초/중/고등학교 입학 시에는 입학 선물을, 수능 응시생인 경우 응원 선물을 챙겨드립니다. 자녀가 대학에 진학하면, 연 최대 600만 원 등록금도 지원합니다! 가족에게 자랑스러운 페스카로가 될게요. ​ PART3 : 직원의 SPECIAL LIFE를 케어합니다 ⦁ 명절 귀향 여비 보조금 지원 풍요로운 명절, 먼 길 귀향 여비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매년 명절(설·추석)에는 고향 귀경길을 위한 귀향 여비 보조금을 30만 원씩 지원해 드립니다. ​ ⦁ 스페셜데이 스페셜데이에는 다 같이 휴식을! 창립기념일에는 축하하는 마음으로 전사에 전일 유급휴가를 지급하며, 명절(설·추석) 연휴 전날과 12월의 마지막 영업일에는 오전 근무 진행 후 조기퇴근을 진행합니다. 가족, 친구, 연인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요. ⦁ HAPPY BIRTHDAY 페스카로에게 직원의 생일은 소중합니다. 임직원의 생일을 축하하는 마음으로 생일 당일 10만 원 상당의 기프트카드를 선물해 드립니다. ⦁ 근로자휴가지원사업 즐거운 휴가를 위한 지원! 페스카로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근로자휴가지원사업에 참여 중입니다 ✈️. “내가 20만 원 내면, 회사와 정부에서 각 10만 원씩 지원해 주는 제도가 있다고?!” 총 40만 원의 포인트로 다양한 여행 상품을 이용해 보세요! ⦁ 경조사비 및 경조휴가 지원 경조사에 연차 사용하지 마세요! 경조 규정에 따른 경조사 휴가를 부여해 드려요. 결혼 시에는 회사가 누구보다 먼저 축의금을 드릴게요 (2년 미만 재직자 30만 원 / 2년 이상 재직자 50만 원 / 4년 이상 재직자 100만 원). 지금까지 페스카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드렸습니다. 페스카로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복지 프로그램 및 혜택도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될 예정입니다. 정말 이 모든 복지제도를 제공하는지 물으신다면, 자신 있게 "네!"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복지를 누리면서 페스카로와 함께 성장해 나가고 싶으신 분들은, 현재 진행 중인 채용공고를 확인해 주세요. ​
169 페스카로, 기술특례 상장 위한 기술평가 통과…하반기 상장 추진 관리자 2025-01-23
168 페스카로, HL클레무브와 자율주행 사이버보안 고도화 위한 KMS 구축 완료 관리자 2025-01-13
167 [인터뷰] "차량 사이버보안은 100% 완벽할 수 없다"…모빌리티 생태계의 대응 전략은? 관리자 2025-01-03











-이현정 페스카로 CTO(최고기술책임자) 인터뷰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로 주요 기능을 제어하고, 무선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을 개선하고 있다. 이렇게 차량에 소프트웨어가 많아질수록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공격 경로가 늘어나 사이버공격에 대한 취약성도 필연적으로 증가한다.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개인정보 탈취를 넘어 생명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00% 완벽한 자동차 사이버보안은 없다"고 말하는 이가 있다.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전문기업 페스카로의 이현정 CTO(최고기술책임자)다. 화이트해커 출신인 이 CTO를 만나 자동차 사이버보안의 현주소와 모빌리티 생태계에 걸친 대응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이현정 페스카로 CTO (출처 = 페스카로)







왜 자동차 사이버보안은 100% 완벽할 수 없는가.


지금 가장 강력한 사이버보안 조치를 적용해도 해킹 기술은 진화하기 때문에 사이버보안은 지속적으로 관리돼야 한다. 유럽을 시작으로 한국, 중국까지 자동차 사이버보안을 법제화했으며, 완성차 제작사는 차량의 전 생애주기(개발, 생산, 생산 이후, 폐기)에 걸쳐 사이버보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자동차를 판매할 수 있다. 핵심은 자동차의 '연결성'이다. 차량이 소프트웨어에 기반해 다른 차량, 도시 인프라, 개인 통신기기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유기적인 연결성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만 보안을 강화해서는 안전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없다.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취약점이 전체 밸류체인으로 위협을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와 연결된 모든 요소의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사이버보안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모빌리티 업계는 국제 법규 및 표준에 기반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완성차 제작사는 글로벌 진출을 위해 유럽의 법규(UN R155·R156)를 준수하여 CSMS(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사이버보안 관리체계) 및 SUMS(Software Update Management System·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완성차 제작사와 협업하는 기업들은 자동차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국제 표준인 ISO/SAE 21434 인증으로 사이버보안 대응 역량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 진출했거나 진출을 준비 중인 기업들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국제 법규 및 표준을 준수하기 위한 업계의 대응 전략이 궁금하다.


자동차 산업은 거대한 밸류체인 및 차량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복잡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법규 및 표준 대응 전략의 핵심은 전체적인 관점에서 사이버보안을 적용하는 것이다. 페스카로는 다양한 전장 시스템 간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고객사 환경에 최적화된 사이버보안 콘셉트를 설계함으로써 장기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을 토대로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사이버보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직접 경험한 성공 사례에 기반해 아직 사이버보안을 적용하지 않은 기업에 미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완성차 제작사 K사 사례부터 살펴보겠다. K사는 유럽의 CSMS 및 SUMS 인증을 획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사이버보안 업무 관리를 일원화 및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고, 차량 양산 이후에도 보안이벤트를 지속 모니터링하여 피해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IT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한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 발생하는 유기적인 영향에 대해 모든 파생 프로젝트까지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SDV(Software Defined Vehicle·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대에 맞춰 운영 관리 방식 또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접근하여 경쟁력을 제고한 것이다. 이로써 K사가 CSMS 및 SUMS 인증, 그리고 관련 VTA(Vehicle Type Approval·차량형식승인)까지 조기 획득하는 데 기여하며 '2024 우수 파트너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자동차 전장제어기를 개발하는 M사 및 국내 최대 통신기업인 T사와 ISO/SAE 21434 인증을 획득하는 데 협력했다. 당사는 CSMS 구축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산출물 템플릿을 제공했으며, 솔루션에 대한 위협 분석 및 위험 평가(TARA)를 수행해 보안성을 강화했다. 이로써 M사와 T사는 세계 수준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대응 역량을 증명할 수 있게 됐다.





국내외에서 자율주행 관련 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자율주행에도 사이버보안 적용이 필요한가.




물론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차량의 주변 환경을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차량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사이버보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페스카로는 자율주행 기술 전문기업 H사의 자율주행 관련 제품에 당사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적용했고, 이를 안전하게 주입하기 위한 KMS(Key Management System·키관리시스템)도 구축했다. 이로써 H사는 다양한 완성차 제작사의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탑승자의 안전 및 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전기차 충전기에도 사이버보안은 필요하다. 차량과 직접 통신하며 사용자의 차량 정보 및 결제 데이터 등 민감한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사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S사와 협력해 CISS(Charger Integrated Support System·충전기 통합 지원 시스템)를 구축했다. CISS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무선 업데이트, 충전기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에 고장 혹은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인지 및 조치할 수 있어 충전기 유지보수성도 한층 강화됐다.




자동차 사이버보안은 차량 라이프사이클 및 밸류체인 전체에 걸쳐 포괄적이고 깊은 전문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각 전문 분야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스카로는 '핵 더 모빌리티'(Hack the Mobility)라는 비전 아래, 모빌리티 산업의 당면 과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해 가장 실리적인 기술적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다. '기술 문제 해결력'이 바로 유수의 기업들이 페스카로와 긴밀히 협력하는 이유다.







앞으로 모빌리티 업계의 챌린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차량 사이버보안은 100% 완벽할 수 없기에 국내외 선도적인 기업에서는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고도화 및 원가 절감에 대한 니즈를 갖고 있다. 당사는 해당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CSMS 포털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는 사이버보안 업무를 일원화 및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원스톱 데브섹옵스(DevSecOps) 플랫폼이다. CSMS 포털은 협력사,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까지 고려되었으며, 사용자별 유관 업무만 간편하게 확인 및 대응할 수 있는 추상화 기술도 적용될 예정이다. 페스카로의 CSMS 포털은 내년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동차 업계의 당면과제 해결은 물론, 미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머니투데이 ("차량 사이버보안은 100% 완벽할 수 없다"…모빌리티 생태계의 대응 전략은? - 머니투데이)>

166 [조직문화] 2024 연말결산 - 기술문제해결력으로 이뤄낸 성과 #실리적돌파구 #사고적리더십 관리자 2025-01-03














(출처 = 페스카로)





페스카로의 비전 #핵더모빌리티(Hack The Mobility)는 모빌리티 산업의 도전과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해 #실리적인돌파구를 제시한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으로의 패러다임 대전환 시대를 겪고 있고, 이는 그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이죠. 페스카로의 비전은 고속도로보다 오프로드에서 더 시너지가 납니다. 답이 존재하지 않는 수많은 난관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죠.


올해도 모빌리티 산업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양한 과제들이 있었고, 감사하게도 페스카로에 그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기존에 없던 해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지만, 1년이 지나 되돌아보니 '올해도 핵 더 모빌리티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술문제해결력으로 거둔 페스카로의 2024년 성과를 소개합니다.







1.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협업






(좌) KG모빌리티 우수파트너 상패 (우) 안근백 카네비모빌리티 대표와 홍석민 페스카로 대표 (출처 = 페스카로)





페스카로는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에 걸쳐 유수의 기업들과 협업했습니다. 먼저, 완성차 제작사인 KG모빌리티(KGM)가 유럽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 인증(CSMS, SUMS, VTA)을 획득할 수 있도록 컨설팅은 물론 지속적인 대응을 위한 IT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그 결과 ‘2024 파트너스데이(PARTNER’S DAY 2024)’에서 기술 혁신 부문 우수파트너사로 선정되며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자동차 전장품 시스템 전문기업 카네비모빌리티(KANAVI MOBILITY)에 ISO/SAE 21434 인증 컨설팅을 제공하여 인증 획득에 기여했으며, 이후 차세대 제어기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했습니다.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 HL클레무브(HL Klemove)에는 키관리시스템(KMS, Key Management System)을 구축, 이후 고도화를 위한 후속 프로젝트 및 사이버보안 기술 협업 MOU까지 체결했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선두기업 NXP의 공식 파트너 자격도 획득했으며,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SK시그넷(SKsignet)에 ‘충전기 통합지원 시스템(CISS)’을 구축하며 충전 인프라를 고도화했습니다.






2. 국내외 산업 네트워크 확장






좌측부터 홍석민 대표, 이현정 상무, 구성서 상무 (출처 = AEM)






웨비나를 개최하고 전략 콘퍼런스에 참여하며 업계 관계자들과 직접 소통하는 창구를 넓혔습니다. 실무 노하우를 공유하는 실시간 웨비나에서는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오토사(AUTOSAR) 활용 전략에 대해 다뤘고, 30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신청하며 인기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지난 7월에는 AEM(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매거진)이 개최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 전략 콘퍼런스 'Automotive Innovation Day 2024(AID 2024)'에 참가했습니다. 홍석민 대표님(CEO)의 기조연설, 이현정 상무님(CTO)의 기술 강연, 구성서 상무님(CSO)의 패널 토론을 통해 산업에 대한 차별화된 분석 및 SDV 시대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며 ‘라이징스타’ 기업으로 주목받았습니다.


페스카로는 올해를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삼고 중국 진출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중국 최대 규모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전시회 오토섹(AutoSec)에 참가해 자동차 사이버보안 대응 전략을 제공하며 호평을 받았습니다. 진출 공식 선언 2개월 만에 중국의 차량용 반도체 칩 전문기업 지신(ZHIXIN)과 보안솔루션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단기간 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또한 국제적 영향력을 지닌 미국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협회, 오토아이삭(Auto-ISAC)의 ‘2024 사이버보안 서밋(Auto-ISAC Cybersecurity Summit)’에도 참가했습니다. GM, 포드(Ford),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산업 고위 관계자와 도로교통안전국(NHTSA),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보안국(CISA), 연방수사국(FBI)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페스카로 이현정 CTO는 운영관리 관점의 차량 사이버보안 고도화 전략을 발표해 글로벌 유수의 완성차 제작사 및 인증기관 등의 고위 관계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3. 모빌리티 산업 인사이트 공유







(좌) 월간인물 모빌리티 특집호 표지 (출처 = 월간인물) / (우) 이현정 CTO (출처 = 페스카로)





페스카로는 세계 4대 자동차 사이버보안 인증 컨설팅 그랜드슬래머(CSMS, VTA, SUMS, ISO/SAE 21434)로서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공유했습니다. 홍석민 CEO는 다양한 분야의 오피니언 리더를 조명하는 '월간인물' 인터뷰에 참여했습니다. 지난 4월 '모빌리티 특집호'에는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모였고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님, 자동차융합기술원 이항구 원장님과 함께 메인 표지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습니다. 또 모빌리티 산업에서 경쟁의 본질은 무엇인지 소개하며 폭넓은 통찰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현정 CTO는 자동차 보안은 전체적(overall) 접근이 필요하며, SDV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 SDO(소프트웨어 중심 운영관리) 콘셉트를 제시하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페스카로만의 인사이트, 업계 대응 전략 등을 소개하며 #사고적리더십을 선보였습니다.


페스카로는 매월 산업 관계자 3,000여 명에게 차별화된 인사이트와 모빌리티 산업의 주요 이슈를 분석한 뉴스레터를 보내고 있습니다. 트럼프 재선으로 인한 자동차 정책의 변화, 테슬라도 참전한 로보택시 전쟁 등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금 여기를 클릭해 구독 신청하고 유용한 정보를 받아보세요.)







4. 2025년, 상장 준비 완료!


페스카로는 2025년 하반기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상장 주관사 선정을 완료했으며, 188억 원 규모로 시리즈B 라운드 투자를 마무리했습니다. 또한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을 획득하며 페스카로 솔루션 품질의 신뢰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페스카로의 기술력 및 성장 잠재력은 정부기관에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신용보증기금(KODIT)의 ‘프리아이콘(Pre-ICON) 및 중소벤처기업부의 '스케일업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었으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는 글로벌 역량에 대한 우수한 성과를 인정하며 원장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올해를 정리하고 보니 내년에 이룰 '핵 더 모빌리티'가 더욱 기대됩니다. 페스카로의 도전은 모빌리티 산업의 당면 과제를 넘어 미래 과제 해결을 위해 지속될 것입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자동차 사이버보안에 특화된 #DevSecOps 원스톱 솔루션인 #CSMS포털 (CSMS Portal) 플랫폼을 출시,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고도화 및 업무 효율화를 실현해 자동차 산업의 미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이는 자동차 사이버보안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솔루션을 필두로 글로벌 사업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그럼, 2025년에 뵙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165 [조직문화] 페스카로 2024 종무식 (feat. 핵심인재상 #실리적 #돌파구 #바레이징) 관리자 2025-01-03















지난 12월 13일 금요일, 페스카로는 벌써 한 해가 저물어간다는 아쉬운 마음을 뒤로한 채, 2025년을 향해 나아가는 조금 이른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뜨거웠던 페스카로의 종무식 현장! 지금 바로 만나보겠습니다.





1. Opening Event









핀볼게임 (출처 = 페스카로)





종무식은 신나는 이벤트로 막을 열었습니다. 먼저 반응이 가장 뜨거웠던 '디지털 핀볼게임'입니다. 직원들의 이름이 적힌 공이 다양한 구조물에 의해 사방으로 흩어지는데, 사전에 설정한 순서에 맞춰 골 라인을 통과한 사람이 우승하는 게임입니다. 별도의 공략법 없이 오로지 '운'에만 의존하는 게임이라 더욱 재밌었습니다! 순위가 엎치락뒤치락 바뀌어서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감을 놓을 수 없었습니다.




9인의 우승자에게는 애슐리퀸즈 식사권을 전달드렸습니다. 축하드립니다! 






핀볼게임 우승자 (출처 = 페스카로)





다음으로 ‘리브랜딩 1주년 기념이벤트' 당청자를 공개했습니다. 2023년 종무식에서 전략기획팀 엄선현 팀장님은 재정립된 페스카로의 핵심 가치, 미션, 비전 등을 소개했습니다. 전략기획팀은 새로운 페스카로를 담기 위해 사내 포스터, 브랜딩 이미지를 제작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이 중 임직원분들은 어떤 활동을 가장 좋아했을까요? 






리브랜딩 1주년 기념이벤트 (출처 = 페스카로)






많은 분들이 진심이 담긴 의견을 남겨 주셨고, 당첨자로 총 세 분을 선정했습니다. 굿즈를 통해 자부심과 애사심을 느낀다는 '돈 많은 백수'님에게는 5만원의 문화상품권을, 업계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뉴스클리핑이 기다려진다는 'KBS'님과 브랜딩 이미지를 통해 회사 분위기가 활기차졌다는 '토리 보호자'님에게는 각 2만 5천원의 문화상품권을 전달드렸습니다. 당첨된 분들 모두 축하드립니다! 






리브랜딩 1주년 기념이벤트 당첨자 (출처 = 페스카로)








2. Welcome and Congrats!







다음으로 2024년 하반기 신규 입사자분들을 맞이하며 서로 인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기 소개를 통해 각자의 개성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 함께 만들어갈 이야기들이 기대되었습니다! 페스카로로 이어진 인연, 오래오래 함께하길 바랍니다.






2024 하반기 신규입사자 (출처 = 페스카로)





이어서 2024 MVP Awards가 진행되었습니다. 올해는 페스카로의 새로운 핵심가치를 가장 잘 실현한 분들이 선정되었습니다. 페스카로의 핵심 가치는 Breakthrough, Practical, Bar-raising입니다. 



Breakthrough : 기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새로운 돌파구를 탐구하며 문제 해결에 앞장서신 분

Practical : 처한 상황과 니즈에 최적화된 가장 실리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신 분

Bar-raising :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스스로의 기준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성장하신 분






2024 MVP Awards 수상자 (출처 = 페스카로)






올해의 MVP를 소개합니다! Breakthrough 부문에는 전장소프트웨어개발팀 한문용 수석님, Practical 부문에는 PM팀 양정민 수석님, Bar-raising 부문에는 전략기획팀 엄선현 팀장님이 선정되었습니다. 수상자에게는 황금 명함 1.25돈과 문화상품권 50만 원, 총 110만 원 상당의 선물을 전달했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각자의 자리에서 항상 최선을 다해주신 모든 임직원분들께도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3. CFO Talk - 역량 중심 HR 경영 체계






다음으로 이영탁 상무님께서 새롭게 개편된 HR 경영 체계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특히 기업공개(IPO)를 앞둔 만큼 구성원들의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로드맵으로 개편된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페스카로의 밀도 높은 성장을 위한 평가 및 교육 제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CFO Talk (출처 = 페스카로)








4. 양혜정 사외이사님 - 특별 강연






다음 순서로 테슬라(Tesla) 코리아에서 재직하신 양혜정 사외이사님의 특별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테슬라의 강도 높은 업무와 주도적인 업무 환경이 어떻게 기업의 성공을 견인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특히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어가는 테슬라의 문화는 많은 임직원분들께 영감을 주었습니다. 이사님은 페스카로가 기술적 돌파구를 만들어내는 문화를 유지하길 바란다며, 모두에게 큰 동기를 부여하셨습니다.






양혜정 사외이사님 특별강연 (출처 = 페스카로)









(Bonus Event) Again, 핀볼게임






종무식 행사가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던 중 뜨거운 반응에 힘 입어 핀볼게임을 한 번 더 진행했습니다. 단 한 명의 우승자에게는 15만 원 상당의 '텍사스데브라질' 디너 식사권을 제공했습니다. 아쉽게 탈락한 분들의 탄식과 간발의 차이로 살아남은 분들의 환호가 뒤섞이며 행사장의 분위기는 더욱 고조되었습니다. 




1%의 확률로 당첨되신 분은 전장소프트웨어개발팀의 이재석 수석님입니다! 축하드립니다.






보너스 핀볼게임 우승자 (출처 = 페스카로)







5. CEO Talk - 페스카로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





종무식의 마지막은 홍석민 대표님께서 장식해 주셨습니다. 올해 성과 공유와 더불어 2025년 목표 달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셨습니다. 구체적인 장단기 목표를 공유함으로써 임직원들의 목표 달성 의지를 고취시켰습니다.



CEO Talk (출처 = 페스카로)








6. After 종무식
  - 코트야드 메리어트 December Festive Buffet 








(출처 =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 수원)




종무식 마무리 후, 점심 식사를 위해 광교의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로 이동했습니다. 호텔의 탁 트인 전경을 배경으로 다양한 메뉴를 즐기며 동료들과 이야기꽃을 피웠습니다. 로스트비프, 양갈비, 토마호크 등 다양한 고기 메뉴부터 신선한 해산물, 정갈한 한식, 달콤한 디저트까지 풍성하게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마음껏 즐기며 2024년 종무식은 마무리되었습니다.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 수원 키친 (출처 = 페스카로)



2024년 한해도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변화와 도전으로 가득했던 2024년을 마무리하고, 2025년에도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Adieu, 2024! (출처 = 페스카로)







164 "차량 사이버보안은 100% 완벽할 수 없다"…모빌리티 생태계의 대응 전략은? 관리자 2025-01-03
163 [인터뷰] Hack the Mobility, 그리고 기술적 돌파구 - 홍석민 대표 관리자 2024-12-20








- 미래차 대전환 시대의 도래, 혁신적인 모빌리티 기술로 다시 한번 도약하는 대한민국

 




㈜페스카로 홍석민 대표 ⓒ박소연 기자 / 사진 박성래 기자







인류에게 이동의 자유를 허락했던 자동차에 소프트웨어 기술이 더해지며 자동차 업계는 운전자에게 새로운 이동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모빌리티 혁명’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새로운 기술로 자동차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고 운전자의 이동 경험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모빌리티를 만들기까지, 그 중심에는 모빌리티 시스템 제어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 일컬어지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oftware Defined Vehicle, 이하 SDV)’가 있다. H/W 기반의 기능적 도구에서 S/W 중심의 사용자 경험으로 진화하는 자동차는 ‘움직이는 컴퓨터’, ‘바퀴 달린 컴퓨터’라 불리며 새로운 장을 열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SDV 등 차량 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차량 내 제어기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협 또한 증대되고 있으며, 보안 레벨을 높이기 위한 in-vehicle security 기술이 탑재된 차량용 보안 솔루션을 활용해 전기차 및 자율주행의 보안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하는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자동차의 안전한 네트워크 제어를 시작으로 사용자 경험 중심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구현하며 차량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보안수준을 높여온 ㈜페스카로는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파트너로서 다양한 밸류체인을 확보하며 체계적인 차량용 보안솔루션 구축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의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차량용 ‘백신’이라 칭해지는 사이버보안으로 자동차를 지키는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파트너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Service, Electric) 혁명과 함께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패러다임 대변혁의 중심에 서 있다. 커넥티드카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는 소프트웨어의 수와 중요도, 복잡도의 증가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취약성 증가라는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자동차 한 대에 사용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 이하 ECU)는 30개에서 100개에 달한다.



대부분 차량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앱과 블루투스, 인포테인먼트, 디지털키 등 다양한 커넥티비티 기능은 사이버보안의 필요성을 증대시킨다. 자동차 사이버보안의 위협은 곧 운전자와 탑승자, 보행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자율주행차 시대로의 진입을 위한 사이버보안 공격에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자동차의 사이버보안은 차량용 ‘백신’에 비견되며, 자동차 품질을 결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0년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 WP29 총회에서 사이버공격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자동차에 탑재할 것을 명시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기준이 채택(UNR 155/CSMS)되었으며, 자동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UNR 156/SUMS)은 자동차의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을 의무화했다. 지난 1월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관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자동차 제작사의 사이버보안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안전관리 조치를 의무화시키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2월 공포된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에는 자동차 제작사가 자기인증을 하려는 경우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국토교통부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 명시되어 있다.



2016년 설립된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파트너 ㈜페스카로는 자동차 사이버보안부터 SDV에 이르기까지, 미래차가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필요한 모든 역량을 보유한 준비된 기업이다. 전문지식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은 글로벌 차량 제작사(이하 OEM)의 보안 요구사항에 대한 깊은 이해로 연결되었으며, 최고 수준의 자동차 제어기 개발자 그룹과 화이트해커 그룹으로 구성된 조직은 글로벌 표준을 준수한다. 이러한 역량은 자동차용 S/W를 개발하는 기업의 개발 프로세스의 레벨을 평가하는 ‘A-SPICE(Automotiv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Evaluation)’에서 Level 2를 획득하는 것은 물론, 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의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모듈에 대한 글로벌 인증인 ‘FIPS 140-2’ 획득과 그로 인한 신뢰성 강화로 귀결된다. 나아가 고객맞춤전담팀을 운영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우선 사이버보안 영역에서 페스카로는 End Point 제어기 보호, 차량 내부 모든 제어기들의 통신 네트워크 보호, 그리고 차량 외부 통신인 V2X(Vehicle to Everything)에 이르기까지 계층적 방어(Defence in Depth)형태의 솔루션과 함께 높은 차량 라이프사이클 이해도와 역량에 기반한 규제 대응용 올인원 솔루션을 선보였다. 여기에는 완성차 제작사 및 제어기 개발사를 위한 TARA(위협분석 및 위험평가), 보안솔루션(FAST™ HSM), 맞춤 엔지니어링, 보안테스트가 포함된다.



페스카로의 FAST™ HSM은 제어기에 최적화된 빠르고 강력한 보안 소프트웨어이다. 글로벌 차량 제작사에서 요구하는 10개의 사이버보안 Use Cases를 바탕으로 차량 제작사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퍼징테스트(Fuzzing Test), 모의침투테스트 등 보안테스트 서비스로 사이버보안 기능을 적용한 후 실제 사이버보안 취약점이 얼마나 완화되었는지 검증한다. 이는 국내외 10개 차종에 적용된 모든 제어기의 취약점을 분석한 결과다. 페스카로의 보안 솔루션은 국내외 완성차 제작사 6곳의 14개 차종과 150여종의 제어기에 적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 전장 S/W 및 H/W 개발 관련 전문 역량을 토대로 보안 게이트웨이 제어기뿐만 아니라 차량 도어와 같은 바디 장치들의 기능이 통합된 바디 통합 제어기(BCM, Body Control Module), 전조등과 같이 차량의 각 장치에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스마트 정션 박스 제어기(SJB, Smart Junction Box), 전기차 차량 제어 제어기(VCU, Vehicle Control Unit) 등 SDV 차세대 제어기(Zonal ECU)들을 개발하며 제어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페스카로는 실시간 사고 대응체계 구축을 목표로 사이버보안을 모니터링하는 IT 시스템을 구축했다. 자체 분석툴을 통해 위험분석 및 위험평가를 진행한 후 업데이트 관리, S/W 펌웨어 버전 관리, 침입 탐지 시스템(IDS) 탐지 규칙 관리 등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관리를 위한 IT 인프라용 서버 S/W 솔루션이 그 주인공이다. 사이버보안에 있어 100% 안전이란 있을 수 없기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빠른 대응 및 후속 피해 확산을 방지한다는 전략이다. 페스카로는 국가별·차종별 보안 이벤트를 면밀히 확인하는 것은 물론 보안 게이트웨이와 연동해 연결된 모든 제어기의 데이터를 취합하며 공고한 모니터링 기반을 다지고 있다. 최근에는 SK시그넷의 전기차 충전기 사이버보안 강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현재는 원격으로 충전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Over The Air, OTA)할 수 있는 ‘충전기 통합지원 시스템(Charger integrated Support System, CISS)’의 후속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사이버보안과 관련한 글로벌 인증을 취득하며 시장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사이버보안 부문 국내 최초로 획득한 FIPS 140-2 인증으로 美국방부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신뢰도를 획득했다. A-SPICE Level 2 인증 또한 페스카로의 S/W 품질 신뢰도를 높이는 토대가 되었다. 현재 OEM은 협력사에게 A-SPICE Level 2 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현재 페스카로는 Level 3를 준비하며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페스카로는 고객사의 환경 및 니즈를 고려해 고객에게 최적화된 돌파구를 제시하며 탄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한다는 기조 아래 창의적·실리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들의 목표다.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보안성에 준하는 S/W 솔루션과 올인원 솔루션 등을 제시하며 소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한 것이 대표적 성과다. 홍석민 대표는 차량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프로세스 최적화에 집중해왔다고 설명했다.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구축에 있어 ‘차량의 전체 수명주기’에 초점을 맞춘 것은 물론 ‘생산 이후’를 고려하며 S/W의 취약점을 극복해온 것이다. 특히 S/W 업데이트 영향도에 따른 분석·평가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고객사에게는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권장한다. S/W 버전 및 업데이트 현황 파악, 예상치 못한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에 대한 대응 등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한 까닭이다.



“고객의 일이지만 고객의 성장이 곧 우리의 성장이라는 철학으로 프로젝트에 임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을 넘어 우리가 만족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최고의 결과물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일념으로 더 나은 성과를 좇는 것이야말로 페스카로만의 DNA입니다.”



나아가 홍 대표는 생산 효율성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수익 효율성임을 강조한다. 페스카로의 운영에 있어서도 ‘직원 1인당 수익’에 중점을 두고 관리업무를 고도화해가는 모습이다. 그는 전체 인력 규모 대비 연간 전체 수익이야말로 규모보다는 업무의 질을 비교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라 설명했다.





 


㈜페스카로 홍석민 대표 ⓒ박소연 기자 / 사진 박성래 기자






자동차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높은 이해도 바탕으로 전 주기 아우르는 솔루션 제시



자동차 사이버보안(UNR 155) 및 S/W 업데이트 관리(UNR 156)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라이프사이클 동안 사이버보안 이슈를 대응할 수 있는 조직과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자동차 제어기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고객의 니즈에 대한 고민으로 빚어낸 ㈜페스카로의 역량은 세계 4대 자동차 사이버보안 국제 규정(UNR155, UNR156)에 관한 인증(CSMS, ISO/SAE 21434, SUMS, VTA) 컨설팅 그랜드슬램 달성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는 자동차 전장 시스템에 대한 전방위적 이해와 전문성을 자랑하는 페스카로의 통합 솔루션이 글로벌 차량 제작사의 엄격한 품질 기준 검증을 모두 통과했음을 의미한다. 페스카로는 규제 인증에 대응하기 위한 풍부한 노하우를 토대로 OEM과 밀접하게 협력하는 한편 선제적으로 인증 심사 과정에 참여하며 OEM의 조기 인증 획득에 기여해오고 있다.





페스카로는 2017년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대한민국 ICT 유망기업에 선정된 데 이어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기술성 및 혁신성이 우수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는 스케일업 프로그램인 퍼스트펭귄 및 프리아이콘에 선정되어 성장의 기반을 다지기도 했다. 더불어 KG 모빌리티 우수 파트너사 선정 및 1차사 등록을 완료했으며, 2025년 하반기에는 기술특례상장을 목표로 IPO(기업공개)를 진행할 예정이다.



홍석민 대표는 현대케피코에서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전장 제어기와 연을 맺었다. 컴퓨터공학과 출신 1세대로써 현대차 전장 제어기를 개발·양산했던 그는 국내 최초로 사이버보안 모듈 개발에 성공하며 국산화하는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 그가 차량의 사이버보안을 고민하던 당시는 자동차 사이버보안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 커지며 국제적 규제 움직임이 시작되던 시기였다. 일찍이 시장의 가능성을 엿본 홍 대표는 차세대 보안리더 양성 프로그램인 BoB(BEST of the BEST)를 수료하며 시장에 진입할 준비를 시작했다. 페스카로를 공동 창업한 화이트해커 이현정 CTO와 인연을 맺은 것도 이때다. 또한, 페스카로는 자동차 제어기 개발사들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구축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관련한 다양한 전략 웨비나를 개최하며 협력사들과의 네트워크를 다져오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이어왔다.



“전장 제어기의 국산화에 도전한다고는 했지만, 그때는 제로베이스였기에 쉽지만은 않은 도전이었습니다. 독자 개발에 이르기까지 3년 가까운 시간이 걸렸어요. 그동안 업계를 떠난 분들도 많았죠. 긴 시행착오 끝에 양산에 성공하며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후 우연한 계기로 해커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며 제가 해야 할 일이 명확해졌죠.”



전장 제어기(ECU), 텔레매틱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등 자동차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복잡화되고, 전자제품이 증가하면서 제어기 간 데이터 통신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어기 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안·통신할 수 있는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IVN, In-Vehicle Network)용 보안 솔루션 적용과 소프트웨어 형상을 관리할 수 있는 보안 게이트웨이 제어기 구축이 세계적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커넥티드카 기술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빠르고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술이 본격화되며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역량과 핵심 제어기인 보안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미래차 산업의 새로운 핵심으로 주목받는 모습이다.



페스카로는 사이버보안 영역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자동차 전장 S/W 사업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미래차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선도한다는 포부 아래 자동차 전장시스템 개발자인 홍 대표가 전장개발본부를, 화이트해커인 이현정 CTO가 보안개발본부를 이끈다. 더불어 평균 업력 20년 이상의 글로벌 유수 기업 출신들로 기술리더십을 확보하며 자동차 전장 시스템 전문가 그룹으로 발돋움했다. 화이트해커는 개발자만큼 개발을 잘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업계 전문가를 영입하며 차별화를 이룬 것이다. 더불어 전문역량을 토대로 면밀한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벡터(Vector), 이타스(ETAS), 일렉트로비트(ElectroBit, EB) 등의 ‘오토사(AUTOSAR) 기업’과 인피니언(Infineon), NXP 등의 ‘칩 제조사’, HL클레무브, KMS테크놀로지, 블록하버(Block Harbor) 등의 ‘주요 협력사’, 안랩(AhnLab) 등 ‘파트너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강력한 파트너십은 독보적인 시너지를 발현하고 있다. 페스카로는 자체 개발한 보안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NXP의 최신 고성능 반도체를 탑재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페스카로의 S/W 보안솔루션은 파트너십을 체결한 글로벌 칩 제조사의 모든 칩들과 호환이 가능하다. HL클레무브와는 자동차 사이버보안을 위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기술 협업’ 양해각서(MOU)를 토대로 HL클레무브 자율주행 솔루션에 페스카로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적용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IT 전문매체 CIO Review APAC의 ‘Top 10 Automotive Solutions Provider 2023’에 선정되기도 했다.



페스카로의 전략과 노력은 다양한 성과로 입증되고 있다.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해 KG 모빌리티의 우수 파트너사 선정 및 1차 벤더사로 등록되는 쾌거를 거둔 것이다. 페스카로는 설립 2년 만에 보안 게이트웨이의 설계·개발을 끝마쳤으며, 승용차 및 상용차 제작사로부터 100만 대 규모의 수주를 완료했다. 또한, 고성능 제어기인 통합 디지털 콕핏 제어기 관련 양산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도 적극 추진 중이다. 홍 대표는 전장 시스템에 대한 전문역량을 입증한 성과라 말했다. 페스카로는 연간 1천만대 양산을 경험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Value Engineering 기반 원가절감 혁신 및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 품질 최대화, 소싱 리스크 최소화 등의 노하우를 자랑한다.



 





㈜페스카로 홍석민 대표 ⓒ박소연 기자 / 사진 박성래 기자





두려움보다는 집요한 탐구로 이루어온 성취, 페스카로만의 역량과 신뢰로 굳어져



홍석민 대표는 완성차 업계에서 컴퓨터공학과 출신 1세대로 활동하며 현대차 전장 제어기를 개발·양산하기까지 그야말로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인물이다. 그는 처음 접하는 문제도 두려워하지 않고 집요하게 파고든다면 잘 해낼 수 있다는 믿음 하나로 연구개발에 매달렸다고 말했다. 도전의 성과는 탁월했다. 전장 제어기를 두고 펼쳐진 춘추전국시대에서 살아남은 것이다. 대표적인 보수적 업계인 자동차 산업에 두 명의 청년이 혈혈단신으로 뛰어들어 지금에 이어져 온 여정은 기념비적인 성과를 기록했다. 홍 대표는 든든한 모기업을 지닌 경쟁자들 속에서 생존했기에 더욱 뜻깊은 성과라며, 부족한 경험을 남다른 기술력과 폭넓은 역량이라는 무기를 앞세워 상쇄시키는 데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업력보다는 실력이 중요하다는 믿음을 갖고 고객사를 만나고 있습니다. ㈜페스카로와 한 번도 안 한 기업은 있어도, 한 번만 한 기업은 없다는 점은 페스카로의 역량과 신뢰를 입증하죠. 고객만큼의 오너십을 보유한 적극적인 파트너로서 고객이 마주한 문제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제시할 것입니다.”



오너십을 바탕으로 창의적 해법을 제시하겠다는 홍 대표의 말처럼 레거시가 중요한 자동차 업계에서 스타트업인 페스카로가 고객사에게 선택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가장 실리적인 돌파구를 제시했다는 점에 있다. 이는 홍 대표가 고객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접근을 강조하는 이유다. 그는 세계 최고의 기술보다는 고객에게 최적화된 ‘가장 실리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 약속했다.





“창의적 사고로 돌파구를 찾는 과정에서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 바로 현실적 감각입니다. 시장성이 떨어지는 솔루션은 결코 실현될 수 없으니까요. 이것이 페스카로가 말하는 ‘실리’입니다. 고객사의 실리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도 실리를 추구하며 고객사와의 동반성장을 이루고자 합니다.”



페스카로가 선보인 창조적 솔루션의 이면에는 페스카로만의 조직문화가 있다. 홍 대표는 ‘되게 하는 방법을 찾는 사람들’이라 소개했다. 직원들에게는 처음 접하는 문제를 두려움으로 마주하기보다 집요하게 파고들 것을 강조하며, 인재채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질의 주니어를 발굴하는 데 집중한다. 모든 직원을 채용함에 있어 홍 대표가 직접 1시간에 가까운 면담을 진행할 정도로 공을 들이는 것은 물론 입사 후에는 난이도 높은 과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트레이닝하며 역량을 높이고 있다. 여기에 우수한 기술리더십을 자랑하는 시니어가 합류하며 기술역량 및 안정성을 강화했다.



“창업 당시만 해도 자동차 사이버보안이 이슈가 되기 전이라 관련 경력을 가진 인재를 찾는 것도 어려웠어요. 신입사원들을 업계를 이끌어갈 수 있는 인재로 키우며 기업과 함께 성장하자는 마인드로 구성원을 채웠죠. 페스카로만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자는 장기적인 계획 아래 몇 년간 트레이닝을 거치며 역량을 키워갔습니다. 2020년 사이버보안에 대한 규제 시행이 공표되며 성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죠.”



 





㈜페스카로 홍석민 대표 ⓒ박소연 기자 / 사진 박성래 기자





Hack the Mobility,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 시대 열어가는 ㈜페스카로



미래 모빌리티가 SDV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전기차는 부품을 줄인 만큼 소비자 사용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사용자 이동 경험을 새롭게 정의 내린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페스카로는 가장 실리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선보이며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를 실현해간다. 모빌리티 기술을 넘어 생태계 혁신을 이끌어내겠다는 포부다. 홍석민 대표는 모빌리티의 목적과 기능이 다변화되고 있다며,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 또한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는 안전한 모빌리티이다. 여기에는 SDV, UAM(도심항공교통), PBV(목적기반차량) 등이 포함된다. 두 번째 해석은 산업 내 기술 격차를 해소한다는 데에 있다. 홍 대표는 중소형 플레이어의 고도화를 위해 지속 협력하며 시장 다양성 발전에 기여하고, 이러한 발전이 소비자 이익으로 연결되는 발판 마련에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페스카로는 사이버보안을 기반으로 한 SDV형 차세대 제어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기존 제어기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주요 기능들을 하나의 제어기로 통합한 차세대 제어기 니즈가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현재로서는 S/W 영역 세분화와 인력 쟁탈전, 각종 표준과 규제, 품질 이슈 등 SDV 대응에 있어 부품사(Tier)의 어려움이 따라왔다. 이에 SDV형 차세대 제어기로 난관을 타개할 수 있는 전략적 협업 모델을 제시한다는 포부다. 또한, SDV 대응 시 OEM이 겪는 어려움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도 준비하고 있다. Zonal ECU 및 Vehicle Com(HPC) 제품 및 SDV DevOps 제품(IDE-CD/CI/CT), SDV E/E 아키텍처 전환 엔지니어링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SDV를 위한 페스카로만의 비장의 카드도 선보일 예정이다.



페스카로는 ‘Hack the Mobility’라는 슬로건과 함께 모빌리티 산업이 마주한 문제 해결에 도전한다. 여기서 Hack은 창의적 기술적 문제 해결을 뜻한다.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서 나아가 고객사가 마주한 난관을 현실적·효과적으로 타개하는 창의성을 발휘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홍 대표는 고객사의 환경과 니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Hack the Mobility’를 실현해나갈 것이라 다짐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솔루션 분야에 있어 답이 없는 문제를 겪고 있다면, 어려운 기술은 페스카로에 맡겨주세요. 페스카로가 고안해낸 기술적 돌파구와 고도화된 솔루션, 다양한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귀사만을 위한 문제 해결을 제시하겠습니다.”



사이버보안 업계에서 실질적으로 Tier 0.5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페스카로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차량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자체 실무 역량을 인정받았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손꼽힐 만큼 보기 드문 성과이다. 자동차 제작사와 제어기 개발사 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사전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확보한 탄탄한 신뢰는 페스카로가 미래로 뻗어 나갈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





<출처 : 월간인물(https://www.monthlypeople.com/news/articleView.html?idxno=700377)>





162 보안 SW 개발 프로젝트 PM (신입) 관리자 2024-12-18

Job Mission

• 보안SW 개발 관련 프로젝트 관리
• 보고서 작성 업무 
• 고객 요청사항 대응 업무 


Qualifications

• SW 관련 기술 및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 
• 유관부서와 커뮤니케이션 원활하신 분
• 이공계졸업자
• 한글/MS Office 능숙하게 사용 가능하신 분 



우대사항

• 산업공학 또는 컴퓨터공학 졸업자 


How to apply


사람인 / 잡코리아 채용 플랫폼을 통해 입사지원 서류를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람인 채용공고 (click)

• 잡코리아 채용공고 (click) 

161 자동차 분야 위협 분석 및 위험도평가 담당 (신입) 관리자 2024-12-18

Job Mission

• 자동차 분야 위협 모델링 및 위협 평가
• ISO/SAE 21434 기반 차량 위협 분석 및 위험도 평가 진행


Qualifications

• 다양한 부서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분
• 법과 표준에 대해 이해라고 해석 가능한 분 
• 문제를 식별하고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분 
• 사이버보안 관련 전문 지식이 부족해도 교육과정을 통해 성장하고자 하는 분 



우대사항

• 워드 및 엑셀 문서 작성에 자신 있는 분
• 해외 거주 경험 또는 그에 준하는 영어 실력을 갖추신 분 
• 경제학 / 경영학 / 법학 / 산업공학 전공 졸업 (예정)자


How to apply


사람인 / 잡코리아 채용 플랫폼을 통해 입사지원 서류를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람인 채용공고 (click)

• 잡코리아 채용공고 (click) 

160 차량용 SW 및 제어기 개발 프로젝트 PM (경력 4년 이하/신입) 관리자 2024-12-11

Job Mission

• 차량용 SW 및 제어기 개발 관련 프로젝트 관리 
• 보고서 작성 업무
• 고객 요청사항 대응 업무 


Qualifications

• SW 관련 기술 및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 
• 유관부서와 커뮤니케이션 원활하신 분
• 이공계 졸업자
한글 /MS Office 능숙하게 사용 가능하신 분



우대사항

산업공학 또는 컴퓨터공학 전공 졸업자 


How to apply


사람인 / 잡코리아 채용 플랫폼을 통해 입사지원 서류를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람인 채용공고 (click)

• 잡코리아 채용공고 (click) 

1 2 3 4 5
CONTACT USquestion_mark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