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RESOURCES

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파트너

SCROLL DOWN

2025년 10월 페스레터





10월 페스레터에서는 모빌리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사이버보안과 안전에 대한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재규어랜드로버(JLR) 해킹 사례 분석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법규(자동차관리법) 가이드, 자율주행 시스템을 안전하게 설계하는 방법까지 확인해 보세요.


1. [리포트] 재규어랜드로버 사이버사고 관련 CMC 공식 성명
2. [인터뷰] 국내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 대응 가이드 ① - ‘통합적 접근’이 핵심 
3. [리포트] ISO 26262 기반 안전 메커니즘 개요 및 실무 적용가이드
4. [패널토론] 안전을 설계하다: E2E 아키텍처와 자율주행의 미래 
5. [심포지엄] ISR Asia 2025 국제로봇심포지엄 



1. [리포트] 재규어랜드로버 사이버사고 관련 CMC 공식 성명
  by CMC (사이버 모니터링 센터)

CMC 매트릭스 (출처 = CMC)

재규어랜드로버(JLR)는 지난 8월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수 주간 주요 생산라인의 운영이 중단됐습니다. 영국 CMC는 이번 사건을 자체 매트릭스 5단계 중 3단계(systemic)로 분류하며, 영국 내 약 5,000개 기업이 연쇄 피해를 입고 약 19억 파운드(약 3조 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어 단일 제조업체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사이버복원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2. [인터뷰] 국내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 대응 가이드 ① - 조직 체계부터 개별 차량까지 ‘통합적 접근’이 핵심
  by 김성범 페스카로 기술고문 


김성범 페스카로 기술고문 (출처 = 페스카로)


국내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자동차관리법)가 시행됐습니다. 신규 등록 차종은 지난 8월부터, 기존 양산 등록 차종은 2027년 8월부터 법을 준수해야만 차량 판매가 가능합니다.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에서 국내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 제정에 참여한 김성범 前 자율주행본부 처장의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자관법과 UN R155의 차이점, 자관법 대응 시 유의해야 할 점 등을 확인해 보세요. 





3. [리포트] ISO 26262 기반 안전 메커니즘 개요 및 실무 적용가이드
  by 세온이앤에스 (SeonENS)



주요 안전 메커니즘 유형별 분류 (출처 = 세온이앤에스)


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인 ISO 26262에서는 시스템이 안전 상태에 도달하거나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장치나 기능을 '안전 메커니즘(Safety Mechanism)'이라고 정의합니다. 세온이앤에스는 안전 메커니즘의 필수 항목으로 1) 중복 기반 아키텍처, 2) 실시간 모니터링·진단, 3) 데이터 무결성·논리 검증을 분류했습니다. 세부 내용을 실무 사례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4. [패널토론] 안전을 설계하다: E2E 아키텍처와 자율주행의 미래
  by AEM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매거진) 

The Autonomous 패널 토론 (출처 = AEM)


The Autonomous 패널토론에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아우디(Audi), 티티테크오토(TTTech Auto), 인피니언(Infineon), 이노비즈(Innoviz)의 주요 책임자들이 참석해, 자율주행의 안전 아키텍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자율주행 시스템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처음부터 중복성(redundancy)과 내결함성(fail-operational)을 갖춘 아키텍처로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합니다.





5. [심포지엄] ISR Asia 2025 국제로봇심포지엄
  by 한국로봇산업협회
  ▶ 2025년 11월 5일(수) ~ 7일(금) 
   일산 킨텍스(KINTEX) 1, 콘퍼런스룸
   참가비 무료

ISR Asia 2025 국제로봇심포지엄 포스터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

ISR(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ics, 국제로봇심포지엄)은 국제로봇연맹(IFR)이 주관하는 권위 있는 학술회의로, 전 세계 로봇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국제적 행사입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휴머노이드, 인공지능, 자동화, 사이버보안을 주제로 삼성전자, 한화로보틱스, 페스카로 등이 연사로 참여합니다.





CONTACT USquestion_mark

SITEMAP